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병역과 취업을 한번에 해결'... 전문대 부사관학과 ‘인기’

 
경기과기대 특수자동차정비과 실습사진

20대로 들어선 남학생들은 ‘3중고’를 겪는다. 어렵사리 대학 문턱을 넘어도 등록금 부담이 우선이고, 대학생활 중간엔 병역의무까지 마무리해야한다. 

 

제대하고 학교에 복귀해도 청년층 고용한파에 또 다시 시련을 겪기 마련이다. 전문대학교 부사관학과의 지원 열기가 높아지는 이유는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다.

 

군 부사관학과는 병역의무와 안정된 취업을 동시에 해결하고 군 기술부사관 장학생 제도를 통해 2년 전액 장학금도 받을 수 있다는 메리트 덕에 매년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

 

졸업 후까지 탄탄하다. 학교를 마친 후에는 기술부사관으로 임관되거나 3사관학교(육해공군사관학교) 편입 후 장교임관은 물론 전역 후 군무원이나 방위산업체 지원도 가능하다. 2013학년 정시모집을 앞 두고 전문대 부사관학과에 대해 알아보자.

 

전문대 부사관학과 경쟁률은 치열하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전국 24개 전문대 부사관학과 평균 경쟁률은 10대 1을 훌쩍 넘겼다. 인기에 힘 입어 부사관학과를 개설하려는 대학 간의 경쟁도 치열하다.

 

육군본부는 지난 2월 부사관학과 개설을 희망하는 전국 26개 대학을 대상으로 엄격한 서류심사와 현장실사를 진행했다.

 

최종적으로 9개 대학을 선정했다. 일반부사관학과 4곳(경민대 동원대 장안대 한국관광대), 특전부사관학과 2곳(여주대 전남과학대), 의무부사관학과 3곳(영진전문대 원광보건대) 등이다.

 

모 대학 학과 관계자는 “부사관 시험 경쟁률은 매년 4대 1을 웃돈다. 필기시험, 체력검정, 면접 등 까다로운 평가조건에도 지원률이 매년 상승한다. 전문대 부사관학과 졸업생들은 매년 3700여명이 부사관으로 임관돼 군 간부의 길을 걷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수부사관학과의 인기는 더욱 높다. 군 장비의 첨단화가 이뤄지면서 장비를 유지•보수하는 전문 부사관을 배출하는 학과다.

 

2001년 처음 설치된 특수부사관학과는 현재 경기과학기술대교, 대덕대학교, 전남 과학대학교, 창원문성대학, 구미대학교, 상지영서대학교 등 현재 6개 전문대학에 개설돼 있다.

 

학과 관계자는 “특수탄약과, 특수무기과, 특수장비과, 총•포광학과, 국방정보통신과 등 군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11개의 실용적인 학과들을 갖추고 있다.

 

6개 대학에서는 해마다 930 명의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으며 현재 1천 760여 명의 전문대학생들이 재학 중”이라고 전했다.

 

특수부사관학과의 가장 큰 장점은 주문식 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취업과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지원자는 대학별 특성화교육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덕대학교는 국방물자과ㆍ방공유도무기과ㆍ국방탄약과ㆍ총포광학과 등으로 전문화 된 학과를 운영한다. 경기과학기술대교는 특수자동차정비과, 상지영서대학교는 국방정보통신과 등이 특화됐다.

 

이들 학과는 주문식교육을 통해 군수전문기술전문가를 양성하는 만큼 대학별로 특 성화도 이뤄져 있다. 대덕대학교의 경우 국방물자과ㆍ방공유도무기과ㆍ국방탄약과ㆍ총포광학과 등으로 전문화 돼 있으며, 경기과학기술대학교는 특수자동차정비과, 상 지영서대학교는 국방정보통신과 등으로 특화돼 있다.

 

앞으로 전문대 부사관학과는 더욱 늘어날 방침이다. 군과 전문대학 간 제휴협약을 통해 군은 필요한 우수 기술인력을 확보하고 대학은 졸업생 취업난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크기 때문이다.

 

방성용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대외협력팀 관계자는 ”부사관에 임용될 경우 일반 공무원에 뒤지지 않는 근무조건과 다양한 복지혜택, 안전성 때문이다. 실속 있는 수험생들의 많은 지원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2013학년 전문대 부사관학과 정시모집 선발인원

대학명

계열

학명

일반전형

특별전형

가톨릭상지

공학

부사관

 1

 2

군장

공학

국방기술부사관

 1

 1

대구공업

공학

공병부사관

 2

 2

대구미래

인문사회

부사관

 2

 2

대덕

공학

해양기술부사관

 1

 -

대전보건

자연과학

의무부사관

 4

 2

동강

인문사회

부사관

 3

 2

동부산

인문사회

부사관

 4

 6

동주

인문사회

부사관

 2

 2

마산

공학

부사관

 1

 -

공학

해군부사관학부

 2

 1

문경

인문사회

부사관

 1

 1

서영

인문사회

부사관

 3

 3

송곡

인문사회

부사관

 1

 1

수성

인문사회

부사관

 1

 1

안동과학

자연과학

의무부사관

 2

 -

영남이공

인문사회

경찰계열

 3

 -

영진전문

공학

부사관계열

 11

 2

우송정보

자연과학

조리부사관

 3

 -

원광보건

자연과학

의무부사관

 3

 1

공학

정보부사관

 1

 1

장안

인문사회

부사관

 10

 -

제주관광

공학

함정기관/전자 기술부사관

 5

 -

조선이공

인문사회

특전부사관

 7

 2

충북보건과학

공학

정보통신부사관

 4

 1

*자료=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