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군의날

 

국군의 위용과 발전을 기리기 위한 기념일.

 

일반적으로 다른 나라에서는 전통 군대가 상비군으로 바뀌면서 체제를 갖춰나간 반면에, 우리나라 군대는 미군정하에서 필요에 따라 신설된 군사조직이 각기 발전하여 통합되었다. 육군이 남조선 국방경비대로부터 출발했다면 해군의 연원은 미군정청 교통국 해사과에서 찾을 수 있고, 공군은 육군 항공사령부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각 군은 각기 다르게 기념일을 정하여 기념행사 를 실시해왔는데, 육군은 10월 2일, 해군은 10월 11일, 공군은 10월 1일이었다.

 

이같이 각 군이 독자적으로 기념일을 시행해오던 폐단을 없애고 육·해·공군의 통일된 기념일을 정한 것은 1956년 9월 14일 국무회 의에서 국군의 날에 관한 안건이 통과되어 10월 1일을 국군의 날로 정했다. 같은해 9월 21일 대통령령 1173호가 공포되어 1956년 10월 1일부터 국군의 날 기념행사가 실시되었다. 이후 국군의 날에는 사열·시범전투 등 각종 행사가 시행되었고 일반 국민들에게 도 공개되었는데, 최근에 국군의 날이 공휴일에서 제외되면서 기념행사는 대폭 간소화되었다

ㅇ 국군의 날 제정 유래 
 
1950년 10월 1일은 육군백골사단이 민족의 한이 맺힌 38선을 돌파하면서 북진의 새벽을 연 역사적인 날이다.

 

38선 돌파는 그해 9월 당시 유엔군 총사령부에서 모든 작전부대의 진격을 38선에서 멈추라는 명령을 내렸으나 이승만 대통령이 국군 단독 북진명령을 결심해 이뤄졌다.

 

이에 따라 국군 총사령관 정일권 대장이 사단 23연대 전선을 시찰하면서 명령을 하달, 38선 남쪽 2㎞ 지점인 인구리에 주둔하고 있던 3대대가 10월 1일 00시, 전군 최초로 38선을 돌파함으로써 조국통일의 열망에 가득 찬 국군의 북진이 본격화됐다.

 

종전 후 정부는 이날을 영원히 기념하고자 대통령령 제1173호(1956년 9월 21일)에 의거, 10월 1일을 국군의 날로 제정하고 사단 예하 23연대에 국군의 날 제정 기념탑을 건립했다.

 

이와 관련, 육군백골부대는 10월 1일 국군의 날 제정 기원이 된 ‘38선 최선봉 돌파 기념식’을 거행, 조국수호를 위해 산화한 총 1만4672위의 호국영령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추모하고 전 장병이 다시 한번 조국수호와 평화통일의 최선봉이 될 것을 다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