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ㆍ야간 감시헬멧, 생체신호감지 전투복 등
생체ㆍ환경감지 센서가 부착된 개인 전투장구가 육군 병사들에게 보급된다.
육군은 30일 병사들의 개인 전투장구를 오는 2025년까지 3단계로 나눠 개선, 단계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개인전투 장구의 개선이 완료되는 2025년에는 통합 일체형 헬멧을 착용만 하면 주ㆍ야간 상관없이 전방을 감시하고, 헬멧에 장착된 음성송신기로 지휘부와 실시간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방탄복은 첨단 신소재를 적용해 소구경 직사 탄환이 뚫을 수 없도록 개발되고, 전투복은 생체신호감지 센서를 부착해 습도를 자동 조절하고 땀을 배출하게 된다.
육군은 이런 목표 아래 우선, 2015년까지 1단계로 40여개의 개인 전투장구 등의 품질 개선과 함께 무게를 대폭 줄이기로 했다. 1단계 개선 기간에는 미래 개인전투장구 체계 발전을 위한 개념연구도 진행된다.
특수 신소재 사용으로 완전군장의 무게를 현재 48.7㎏에서 38.6㎏으로 10㎏가량 줄이기로 했다. 방어작전과 공중강습작전 등에 나서는 병사들이 메고 가는 완전군장에는 겨울철 29개, 여름철 27개 품목의 장구가 들어간다.
공격작전과 후방작전, 수색정찰, 5분대기, 매복ㆍ대침투작전 임무 때 메는 기동군장을 새로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기동군장에는 통합형 전투조끼와 공격배낭, 전투식량 등 14개 장구가 들어가며 무게는 22.9㎏이다.
기동군장은 완전군장에 뗐다 붙였다 할 수 있으며 기동군장에 완전군장을 붙이면 무게는 38.6㎏에 이른다.
육군 관계자는 "그간 공격작전 등에 완전군장을 메고 가서 작전에 필요한 장구만 꺼내 사용하는 불편이 있었다"면서 "기동군장을 새로 보급하면 지속 가능한 작전시간과 전투시간이 기존보다 3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2단계 개선기간인 2020년까지는 단위 품목별로 기능을 개선한 전투장구류에 첨단기술을 접목해 스마트화할 계획이다.
3단계인 2025년에는 "전투원 개개인이 무기체계가 될 수 있도록 전투장구와 전투체계가 모두 개선된다"면서 "이를 위해 지난 6월부터 육군과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국방연구원 등이 참여하는 'ICT'(통합개념팀)을 구성해 운용하고 있다"고 육군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