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육군55사단 6,25 전사자 유해발굴 개토식

경기,광주일대 선더볼드 작전지역에서 유해발굴

 

육군 55사단은 7일 경기도 광주 문형산 일대에 위치한 한국고용노동연수원에서 사단장 주관으로 ‘625전사자 유해발굴 개토식’을 가진다고 6일 밝혔다.

행사에는 경기도 광주시장 등 지역기관장과 보훈단체장, 6.25참전용사 유가족과 국방부 유해발굴단, 사단 장병 및 예비군 지휘관, 여성 예비군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식사,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 추념사, 종교의식, 헌화 및 분향, 시삽 순으로 진행된다

올해 발굴 예정지역은, 경기도 광주일대 문형산, 관산, 웃도마치, 발이산 일대로, 6, 25전쟁 초기 북한군의 공격을 저지하고자 한강방어선을 연하는 지연전과, 1, 4후퇴 이후 유엔군의 총공세작전 전환전, 한강 이남의 위협제거를 위한 美1.9군단의 위력수색작전인 ‘썬더볼트’ 작전을 실시했던 곳으로, 아군과 북한군 및 중공군이 치열한 접전을 이루었던 격전지이다.

이 지역은 지난 2009년과 2010년 정개산 등 이천 광주 지역 10개소에서 주요지역에 대한 주요지역에 대한 집중발굴로, 2년 연속 목표를 상회하는 225구의 유해를 발굴하는 성과를 거두어, 사단이 2009년 유해발굴 우수부대로 국방부장관 부대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올해 발굴 예정지역은 치밀한 기초탐사활동과 지역정밀 탐문활동, 전사분석, 재보자 확보 등을 토대로, 가장 유해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형산 등 4개 지역이 선정됐다.

올해 발굴 작업은 7일부터 7월 29일까지 8주간 경기도 광주 일대 문형산, 관산, 웃도마치, 발이산 일대에서 실시되며, 국방부 유해발굴단과 수도군단 잠정발굴팀, 55사단 장병 100여명 등이 1일 160명, 연 인원 6000여명이 투입될 예정이다.

발굴된 유해는 현장 수습 후 임시 봉안식을 거쳐, 대대 임시 봉안소로 옮겨져 유해감식 및 전문인력에 의한 정밀분석 작업을 거치게 되며, 오는 8월 18일 수도군단장 주관으로 합동영결식 후 서울 국립현충원내 위치한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으로 운구될 예정이다.

육군 55사단은 성과있는 발굴작업을 위해 사전 지차제장 방문 및 협조, 지역내 관공서 홈페이지, 마을 방송, 반상회보, 현수막을 활용한 홍보등 지자체화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강구했으며, 발굴기간 동안 지자체, NGO 단체, 지역학교 등과 연계해 발굴 동참행사 및 안보교육을 실시하여 대국민 안보의식을 고취시킬 계획이다.

행사를 주관한 55사단장은 “Freedom is not free(자유는 거저 주어지지 않는다)라는 값진 교훈을 되새기며, 마지막 한분까지 가족들의 품으로 모신다는 소명의식을 가지고 발굴작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육군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인터넷 소통모임

Army Suppor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