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5사단, 터키군 장승천 전투 전적비 제막 “형제여, 당신을 잊지 않겠습니다”
22일 경기 연천군에서 열린 터키군 ‘장승천 전투 전적비’ 제막식을 마친 후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 |
육군5사단은 터키 대사관과 함께 22일 오후 경기 연천군 신서면 내산리 장승내 일대에서 6·25전쟁 당시 터키군의 장승천 전투를 기념하기 위한 ‘장승천 전투 전적비’ 제막식 행사를 가졌다.
이날 행사는 최병로(소장·육사38기) 육군5사단장 주관으로 주한 터키참사, 김규선 연천군수, 최환철 국방부 문화정책과장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적비 제막식, 전사자 추모행사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장승천 전투 전적비’는 국방부 문화정책과의 전적기념물 정비 지침에 따라 지난 8월부터 육군5사단 주관으로 추진했으며, 당시 터키군의 전투 현장이었던 내산리 장승내 일대에 건립했다.
최 사단장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세계평화를 위해 몸 바쳐 싸운 터키 용사들을 기억하고 그 위훈을 후세에 전하고자 장승천 전투 전적비를 세웠다”고 취지를 밝혔다.
장승천 전투는 1951년 4월 22ㆍ23일 미 25사단에 배속된 터키군이 수행했던 성공적 작전으로 이 지역에 흐르는 장승천에서 이름을 따왔다.
당시 터키군 여단은 현재 경기도 연천의 대광리 남방에 위치한 ‘옛고개’부터 ‘541고지’ ‘425고지’에 이르는 지역에서 중공군의 파상적인 공격과 퇴로 차단에도 불구하고 지연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특히 ‘425고지’ 방어 중대는 사방에서 공격하는 중공군의 포위망을 각개 전투로 돌파했으며, ‘다라미고개’ 정상에 배치된 경계 소대는 전멸하는 순간까지도 임무를 완수함으로써 후방의 미군과 프랑스·필리핀군이 안전하게 철수하도록 도와 이후 반격작전이 가능케 했다. 그러나 이 전투에서 터키군은 66명이 전사하고 105명이 실종됐으며 35명이 부상을 당했다. 미 25사단이 추산한 전과에 의하면 중공군은 약 1000여 명이 사살됐고 2000여 명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기록돼 있다.
육군5사단은 장승천 전투 당시 가장 치열했던 ‘다라미고개’ 일대에서 전멸 순간까지 결정적 임무를 완수했던 터키 여단 1대대 1중대 경계소대를 추모하기 위한 순직 표지석을 별도로 제작해 설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