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육군 "전사자 유가족 끝까지 찾겠다"
육군5군단전우회
2011. 7. 27. 11:02
무공훈장 수훈자도 54.8% 찾아내
육군은 정전협정 58주년인 올해 6ㆍ25전쟁 전사자 유가족과 무공훈장 수훈자 찾기에 주력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올해 전반기까지 전사자 416명을 확인해 유가족들에게 '전ㆍ사망 확인서'를 전달했으며 무공훈장 수훈자 3천46명의 주소를 확인, 부대별 기념식과 지역 대대장을 통해 1천701명에게 무공훈장을 전달했다.
나머지 1천345명에 대해서는 훈장 교부 절차를 밟고 있다고 육군은 전했다.
육군은 1955년부터 무공훈장 찾아주기 운동을 벌여 지금까지 무공훈장 수훈자 총 16만2천950명 가운데 54.8%인 8만9천322명을 찾아 전달했다.
6ㆍ25전사자로 추가 인정된 1만8천300명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1천86명(5.9%)의 유가족을 찾아냈다. 지난 6월부터 해당 지역 부대 대대장이 정복을 입고 이들 유가족을 직접 방문해 전사 통지서를 전달하는 등 전사자에 대한 예우도 갖추고 있다.
육군 관계자는 "전사자 유가족과 무공훈장 수훈자를 찾는 것은 시간과의 싸움"이라면서 "무공훈장 수훈자는 최종 연락처를 파악하기 어려워 훈장을 전달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전사자 유가족의 경우 전사자 대부분이 1968년 주민등록법 시행 이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제(호)적부상 호주로 기록되지 않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관할 행정관서와 마을을 직접 방문해 유가족 찾고 있으나 주소가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이에 육군은 2010년 병적기록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병적 미확인자의 주소 파악 시간을 단축시킨데 이어 '전사자 유가족 찾기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무공훈장 수훈자와 전사자 유가족 찾기 통합 전담요원을 2명에서 14명으로 늘려 운용하고 있다. 무공훈장은 2002년부터 해당 지역 부대 사단장 주관 아래 부대에서 직접 훈장을 달아주거나 대대장급 이상 지휘관이 가정을 방문해 전달하고 있다.
전남지역 전담요원으로 전반기에 무공훈장 수훈자 423명과 전사자 유가족 55명을 찾아낸 31사단의 김병규 중사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단서가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 달려가서 끝까지 확인하고 있다"면서 "마지막 한 분까지 찾아 드린다는 사명감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무공훈장의 수훈자가 생존해 있으면 국가보훈처에 무공훈장증 등 관련서류를 제출, 심의를 통해 월별로 영예수당(18만원)을 받는다. 6ㆍ25전사자 유가족도 보훈처 심의를 통해 연금수혜자로 인정되면 유족보상금 및 보훈연금을 받게 된다.
육군은 정전협정 58주년인 올해 6ㆍ25전쟁 전사자 유가족과 무공훈장 수훈자 찾기에 주력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올해 전반기까지 전사자 416명을 확인해 유가족들에게 '전ㆍ사망 확인서'를 전달했으며 무공훈장 수훈자 3천46명의 주소를 확인, 부대별 기념식과 지역 대대장을 통해 1천701명에게 무공훈장을 전달했다.
나머지 1천345명에 대해서는 훈장 교부 절차를 밟고 있다고 육군은 전했다.
육군은 1955년부터 무공훈장 찾아주기 운동을 벌여 지금까지 무공훈장 수훈자 총 16만2천950명 가운데 54.8%인 8만9천322명을 찾아 전달했다.
6ㆍ25전사자로 추가 인정된 1만8천300명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1천86명(5.9%)의 유가족을 찾아냈다. 지난 6월부터 해당 지역 부대 대대장이 정복을 입고 이들 유가족을 직접 방문해 전사 통지서를 전달하는 등 전사자에 대한 예우도 갖추고 있다.
육군 관계자는 "전사자 유가족과 무공훈장 수훈자를 찾는 것은 시간과의 싸움"이라면서 "무공훈장 수훈자는 최종 연락처를 파악하기 어려워 훈장을 전달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전사자 유가족의 경우 전사자 대부분이 1968년 주민등록법 시행 이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제(호)적부상 호주로 기록되지 않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관할 행정관서와 마을을 직접 방문해 유가족 찾고 있으나 주소가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이에 육군은 2010년 병적기록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병적 미확인자의 주소 파악 시간을 단축시킨데 이어 '전사자 유가족 찾기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무공훈장 수훈자와 전사자 유가족 찾기 통합 전담요원을 2명에서 14명으로 늘려 운용하고 있다. 무공훈장은 2002년부터 해당 지역 부대 사단장 주관 아래 부대에서 직접 훈장을 달아주거나 대대장급 이상 지휘관이 가정을 방문해 전달하고 있다.
전남지역 전담요원으로 전반기에 무공훈장 수훈자 423명과 전사자 유가족 55명을 찾아낸 31사단의 김병규 중사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단서가 있는 곳이라면 언제든 달려가서 끝까지 확인하고 있다"면서 "마지막 한 분까지 찾아 드린다는 사명감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무공훈장의 수훈자가 생존해 있으면 국가보훈처에 무공훈장증 등 관련서류를 제출, 심의를 통해 월별로 영예수당(18만원)을 받는다. 6ㆍ25전사자 유가족도 보훈처 심의를 통해 연금수혜자로 인정되면 유족보상금 및 보훈연금을 받게 된다.